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테무·쉬인 관세 이슈 총정리: 미국 정책 변화가 내 통장에 미치는 영향

by 셜리라이프 2025. 8. 26.

 

🧨 중국발 초저가 쇼핑몰 '휘청'…한국에 의외의 기회가 왔다?

2025년, 글로벌 유통 시장에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미국이 **중국발 초저가 직구에 '관세 폭탄'**을 날렸습니다. 이제 더 이상 $800 이하 상품이라도 공짜로 들여올 수 없습니다.
이게 끝일까요? 아니죠. 글로벌 항공 화물부터 투자시장, 그리고 한국까지…
판 전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 테무·쉬인, 무너지기 시작했다

몇 년 전만 해도 “1달러 티셔츠”, “공짜 배송”으로 미국 시장을 집어삼키던 **테무(TEMU)**와 쉬인(Shein).
하지만 이번 미국의 소액면세 폐지 조치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그러면 테무의 가격이 드라마틱하게 올라갈 수 있겠습니다.  

결국 그동안 관세 회피로 유지되던 가격 경쟁력이 무너지자, 이용자들도 등을 돌리기 시작하겠죠 

 


✈️ 항공 물류 시장도 ‘직격탄’

이커머스 플랫폼들의 주요 무기는 속도였죠. 대부분의 제품이 항공 화물로 배송됐습니다.
그런데 관세 때문에 직배송이 어려워지자, 항공 수요가 급감합니다.

  • 5월 한 달 동안 중국→미국 항공 화물: 60% 감소
  • 한창 뜨거웠던 여객기→화물기 개조(P2F) 시장도 냉각
  • 항공사들, 미주 노선 → 동남아·유럽 노선으로 급선회 중

이제 이커머스 업체들도 전략을 바꾸고 있습니다.
"창고 만들어서 재고 쌓고, 미국 안에서 국내배송하자"
…하지만 이건 ‘진짜 쇼핑몰’처럼 운영해야 한다는 얘기고, 재고 부담, 운영비, 규제 대응까지 다 감당해야 하죠.
쉽지 않습니다.


🇰🇷 그런데, 이 와중에 ‘한국’은?

여기서 갑자기 한국이 등장합니다.
왜냐고요? 중국발 화물이 미국으로 직행하기 어려워지자, 우회 루트로 ‘한국’을 경유하는 흐름이 잡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인천공항: 세계 5위 항공 화물 허브
  • 동북아→미국 노선 일부가 한국 경유 → 미국으로 변경
  • 미·중 무역 전쟁 → 한국 물류 인프라 ‘반사이익’

지금 한국은 중국·미국 사이에서 물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절호의 타이밍을 맞은 겁니다.


💰 투자자라면 이 시점에서 눈여겨볼 것들

그렇다면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1. 미국 소비는 오히려 늘어날 수도 있다

관세로 인해 중국산 대신 미국 내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 기업들 실적 개선미국 GDP 상승 요인.

✅ 미국 내 소비재·유통 관련 기업, 리테일 ETF 관심 가질만함

2. 엔비디아 실적에도 장기적 여파 가능성

엔비디아는 중국에 칩 팔고 싶어하고, 미국 정부는 그걸 막고 싶어합니다.
당장은 수요 폭발로 실적이 좋겠지만,
2026년쯤부터는 미국 수출 규제가 발목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 반도체 산업 투자 시 중국 의존도를 유심히 봐야 합니다.

3. 한국 제조업 + 물류 인프라의 시너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발표된 1500억 달러 대미 투자.
반도체, 배터리, 조선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 파트너’로 포지셔닝 중입니다.
이번 물류 구조 재편까지 더해지면?

한국 물류 기업, 인천공항, 항공 인프라 관련주가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정치 리스크는 항상 변수다

모든 흐름이 좋아 보여도, 어제 밤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한마디로 미국내 한국 ETF가 급락했습니다.
결국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에 껴 있는 위치.
좋은 기회가 와도 정치·외교 리스크는 상존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합니다.


✍️ 내 생각 

테무 = 핀둬둬 주식은 떨어질것같다
면세를 아예 없애버리겠다는건데.. 그러면 미국 내 소비가 증가하면서 미국 GDP가 올라갈 수 있겠다.
GDP는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 이고 미국은 소비 비중이 크니까.
그러면 미국 내 소비재쪽이나 아니면 S&P라고 꾸준히 들고가는게 맞겠다.
한국 기업들한테 강제적으로 투자를 유치하게 만들고 그러면 이것 또한 미국 GDP를 올린다.
10월에 IMF에서 세계 GDP를 발표하는데 .. 작년걸 기반으로 한다면 떨어져서 나오겠지만 내년은 분명히 오를거야..  
미국꺼를 들고있어야된다는 결론이다. 

내일은 엔비디아 실적을 발표한다.   
엔비디아는 중국에 납품을 하고 싶어하는데 미국정부가 규제하고싶어한다. 
엔비디아는 내년에는 어떻게 될까. 일단은 보류. 

 

 

반응형